Python Basic 19

for Loop(반복문) 다양한 활용: range(), List, Tuple, 구구단 만들기- Python(파이썬)

for loop는 리스트나 튜플의 원소를 하나씩 꺼내 작업하거나 필요한 횟수 만큼 코드를 반복할 때 사용된다. range()를 사용하면 원하는 횟수 만큼 코드를 반복하도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 기본 형식은 아래와 같다. for 변수 in 리스트(튜플, range 등): 코드 우선 List를 활용한 for loop 예시: >>> country = ['Korea', 'United States', 'Japan', 'Australia'] >>> for c in country: print(c) Korea United States Japan Australia country라는 리스트 안에 있는 원소가 print(c)라는 명령으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된다. 여기서 c는 내가 임의로 부여한 변수이다. 개발자 임의로..

Python Basic 2020.11.13

조건문 if, elif, else CRUD, '=' vs '==' - Python(파이썬) 함수

Python에서 조건문은 기본적으로 if와 else로 표현한다. if 다음에 추가적인 조건을 더 작성할 경우 elif를 사용하면 된다. 들여쓰기 if를 사용할 때부터 들여쓰기(indentation)의 역할이 두드러진다. if문에 종속되는 코드는 모두 tab을 눌러 들여쓰기 해야한다. if 안에 또 if가 들어가 있다면 그 안에 들어가는 코드는 당연히 tab 두 번. 들여쓰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코드의 논리가 달라진다. 들여쓰기를 잘못해서 발생하는 에러가 많으므로 주의! =과 ==의 차이 Python에서 '='는 변수 지정에 쓰이기 때문에 True, False 등 Boolean 논리를 사용할 때는 '=='를 사용한다. 예를 들어, a=3은 a라는 변수에 3이라는 숫자를 저장한다는 개념이고, a==3은 ..

Python Basic 2020.11.05

List(리스트) 생성, 추가, 수정, 삭제 list(), append(), remove(), pop() - Python(파이썬) 함수

List 생성 >>> myList = ['a', 'b', 'c'] list(): 'a', 'b', 'c', 'd'를 원소로 하는 List를 간단하게 생성 >>> newList = list('abcd') >>> newList ['a', 'b', 'c', 'd'] List 원소 추가 append(): 기존 List에 원소 추가. 리스트의 맨 끝에 추가된다. >>> myList.append('d') >>> myList ['a', 'b', 'c', 'd'] insert(): index 값을 부여해서, 즉 위치를 지정해서 원소 추가하기. >>> myList.insert(2, 'y') >>> myList ['a', 'b', 'y', 'c', 'd'] List 원소 수정 List[i] = 'value' indexin..

Python Basic 2020.11.05

List(리스트) 합계, 평균, 원소 개수 sum(), len() - Python(파이썬) 함수

숫자로 구성된 List에서 원소의 총합과 평균을 구해보자. 먼저 무작위 정수 3개가 포함된 리스트를 생성한다. import random as rd # 빈 리스트 생성 numList = [] # 생성한 리스트에 random 함수로 1~99 사이의 무작위 정수 3개 추가 numList.append(rd.randint(1,99)) numList.append(rd.randint(1,99)) numList.append(rd.randint(1,99)) print('Random List:', numList) 원소의 총합은 간단하게 sum(List) 명령이면 된다. 평균은 총합을 원소의 개수로 나눠주면 된다. 원소의 개수는 len(List) 명령을 이용한다. listSum = sum(numList) listMean =..

Python Basic 2020.11.05

List(리스트) 정렬 sorted(), sort() 차이 - Python(파이썬) 함수

Python에서 List 원소를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해서는 sorted() 또는 sort()가 쓰인다. 결론적으로 둘의 차이를 먼저 설명하면, sorted()는 List 원본을 변경하지 않고, sort()는 원본 자체를 바꾼다. 어떻게 쓰이는지 살펴보자. 우선 빈 리스트를 생성해 무작위 정수 3개를 추가한다. import random as rd # 빈 리스트 생성 numList = [] # 생성한 리스트에 random 함수로 1~99 사이의 무작위 정수 3개 추가 numList.append(rd.randint(1,99)) numList.append(rd.randint(1,99)) numList.append(rd.randint(1,99)) print('Random List:', numLi..

Python Basic 2020.11.05

무작위 숫자 다루기 random - Python(파이썬) 함수

무작위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random 함수를 이용하려면 우선 random 모듈을 불러와야 한다. import random으로 모듈을 불러올 수 있는데, random을 rd로 줄여 사용하면 코드 작성할 때 보다 간편하다. 아래는 randint 함수를 이용한 예제 import random as rd n = rd.randint(1,10) # 1~10 중 random으로 정수 하나 리턴 print(f'{n}은(는) 짝수인가?', n%2==0) 2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True, 아니면 False가 출력되도록 코드를 작성했다. rd.random() -> 0~1 사이 실수(float) 리턴 result: 0.8739310254313493 rd.uniform(1, 3) -> 1~3 사이 실수(float) 리턴 ..

Python Basic 2020.10.27

input(), int(), split() - Python(파이썬) 함수

* 두 수를 직접 입력 받아 더하는 기능 구현 input() -> 사용자가 입력하는 값을 변수에 저장 int() -> 해당 값을 정수로 변환 a = input('첫번째 수: ') b = input('두번째 수: ') sum = f'{a}+{b}={int(a)+int(b)}' print(sum) sum을 표현할 때 f-string은 유용하다. 따옴표 안에 문자열을 입력하고 앞에 f를 붙여주면 중괄호 {}를 이용해 다양한 표현식을 구현할 수 있다. {} 안에 들어간 값을 제외하고는 모두 string으로 인식한다. * 두 수를 한번에 입력 받아 더하는 기능 구현 split() -> 공백을 기준으로 원소를 나눠 리스트로 변환 nums = input('두 수 입력: ') nums = nums.split() res..

Python Basic 2020.10.27